의술은 환자를 위해 발전하며
건강한 삶을 위한
우리의 노력은 계속됩니다
일요일,공휴일 휴진
(단, 입원 환자분은 진료합니다.)
공휴일이 있는 주는 목요일 6시까지 진료합니다.
3대암, 집에서 '칩'으로 30분내 진단!
간암, 대장암, 전립선암을 집에서 혈액 몇 방울로 검사하는 시대가 빠르면 2년 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혈액이나 타액 같은 체액 속의 성분을 정략적으로 분석해서 간암, 대장암, 전립선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의 유무나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반도체 바이오센서 칩과 리더기'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기술은 특정 암 발병 시 혈청 내 특정 단백질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활용했다. 기존에 혈청을 희석해 측정해야 했던 불편함을 개선하고, 원액 상태에서 암을 일으키는 요인을 감지할 수 있는 '전기적 질병인자 감지법'을 개발한 것이다. 특히 이 기술은 혈청 내 ‘암 표지자’를 동시에 1ng/㎖(1/1000 부피 안에 물질이 1억분의1그램 들어있는 농도)까지 감지할 수 있을 만큼 정밀하다.
또한 기존 바이오센서를 이용할 경우 혈청 내 염분 등으로 인한 신호간섭을 없애기 위해 혈청을 희석해야 했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이 같은 번거로움 없이 30분 이내에 질병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혈청을 희석하지 않은 채 전기적으로 질병인자를 감지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것이다.
더불어 이 기술은 상용화와 관련 강점도 갖추고 있다. 기존 반도체 양산 공정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저가로 대량생산이 가능해 빠른 상용화하는 물론 가격경쟁력도 높은 것이다.
때문에 빠르면 2년 이내에 진단검사실이 따로 구비되지 않은 1차 의료기관이나 보건소, 실버타운, 일반 가정 등에서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연구원은 이번 기술개발 과정에서 확보한 핵심기술에 대해 국내 바이오 관련 우수기업들과 기술이전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등에 내장해 질병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이 기술을 추가로 개발하면 유비쿼더스 의료 서비스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바이오센서 최정상급 학술지인 ‘바이오센서즈 앤드 바이오일렉트로닉스(Biosensors and Bioelectronics)’15일자에 게재됐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